|
유망 직종·Tech
사물인터넷전문가
BY 블루스카이2023-06-20 20:08:27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이 인터넷으로 연결되어 서로 소통하고 상호작용하는 지능형 서비스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관련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등을 설계하고 개발한다.
사물과 사물,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는 사물인터넷전문가 사람이 직접 행동하기 전에 집에 있는 사물들이 스스로 자신의 할 일을 해준다면 어떨까요? 마치 동화 속 요정처럼 말이죠. 누구나 바라지만 가상세계에서나 가능할 것 같은 일들인데요.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접어들면서 실제로 이러한 일들이 구현되고 있습니다. 사물과 사물, 사물과 사람 간의 다양한 정보를 스스로 수집한 후 분석·활용하는 인터넷 시스템을 사물인터넷(IoT)이라고 합니다. 흔히 4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로 ‘연결’을 꼽는데요. ‘연결’을 기반으로 하는 사물인터넷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기술이라고 할 수 있죠. 스마트홈을 비롯하여 웨어러블, 헬스케어 등 개인 영역 IoT 기기부터 공공기관, 기업체, 산업현장 등 다양한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수백억 개의 기기가 연결되면서 기술개발이 더욱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앞으로 사물인터넷은 인간의 생활방식과 편의성을 추구하는 욕구에 부합되도록 한층 지능화된 스마트 환경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에 따라 새로운 사물인터넷 서비스를 창출·제공하기 위한 기획과 비즈니스모델 개발의 필요성이 커지면서 ‘사물인터넷전문가’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습니다.
사물인터넷은 크게 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 보안 등으로 업무 영역이 나뉜다. 그러나 아직은 업역의 구분이 명확하지 않은 상황이며, 추후 각 업역별로 세분되어 전문 인력이 분화·발전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는 일부 대기업에서만 업역별 전문 인력이 활동하 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중견·중소기업이나 스타트업 등에서는 관련 업무 전반을 두루 수행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하나 또는 두개의 업무영역 전문 인력만을 구성한 기업이 다른 업무영역을 보유한 업체와 협업하여 전체 사업을 진행 중이다. 업무 영역별 수행 직무를 보면, 먼저 콘텐츠, 플랫폼 분야는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개발 업무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프로그램 언어를 통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설계·개발·분석등의 직무를 수행한다. 또한 모바일 APP, 모바일Web, 사용자 중심적 콘텐츠 제공을 위한 UX/UI의 디자인 프로그래밍 업무 또한 중요성이 강조되며, 직무가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분야는 하드웨어 개발자와 소프트웨어 개발자가 협업을 통해 직무를 수행한다. 사물인터넷 서비스 제공을 위한 네트워크 하드웨어 장비 개발과 장비 내의 소프트웨어(펌웨어) 개발 업무를 수행 하며, 그에 맞는 네트워크 설계·구축 업무를 한다. 디바이스는 다양한 센서와 통신모듈 연결을 위해 융합된 새로운 하드웨어가 만들어져야 하며 디바이스에 새로운 소프트웨어가 탑재되어야 한다. 그리고 보안 분야는 다른 모든 영역(콘텐츠, 플랫폼,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적용되어야 하는데 영역별, 서비스별, 규모별 등 여러 상황을 인지하고 보안 적용을 고려하여야 한다. 현재 IoT 관련 보안은 미흡한 수준이며 점진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신기술 발달로 다양한 사물인터넷 서비스 창출되기 위해서는 사물인터넷 전반의 기획·고객니즈 분석, 비즈니즈모델 발굴 등의 직무 수행자가 매우 필요하다. 이를 바탕으로 서비스를 기획하는 인력인 ‘사물인터넷서비 스기획자’를 필두로 사물인터넷 관련 업무가 점차 세분되고 전문화될 것이다. 추후 사물인터넷서비스기획자의 다양한 서비스, 비즈니스 창출로 인해 업무 영역별로 세분화된 전문 인력이 종사할 것으로 보인다.
<사물인터넷 기술 범위> IoT 기술은 IoT 서비스(Service), IoT 플랫폼(Platform), IoT 네트워크(Network), IoT 디바이스(Device), IoT 보안(Security)으로 구성
[해외 현황]
- 에코시스템을 향한 R&BD : 미래인터넷, 클라우드, 빅데이터, 5G 등의 기술과 연계한 연구개발 및 중 소·중견기업이 참여하는 사업 생태계 형성 지향 - EU산 제품 및 플랫폼 활용 : EU의 연구개발 지원을 통해 개발된 EU산 플랫폼 및 제품을 이용하여 EU의 스마트 서비스에 적용
[필요 역량 및 교육]
[향후 전망]
출처 ; 워크넷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