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인페이지에서 문의
모바일모드
맨위로
> 커뮤니티 > 칼럼 > 상세보기
Job Talk
현재접속자
칼럼
칼럼 코너경희대 교수들의 시국 선언 전문
BY Roy2023-04-06 00:10:40
2511680

 

시국선언 전문

---------------------------------------------------

윤석열 대통령은 기괴한 강제동원 해법을 당장 철회하라!!!

분하다. 윤석열 대통령은 하루아침에 대법원 판결을 뒤엎고 피해자들의 권리를 무시하며 역사를 퇴행시켰다.

‘제3자 변제’라는 기괴한 방식으로 일제 강제동원 문제를 해결하겠다고 나섰다. 이후에 구상권도 행사하지 않겠다고

선언해 버렸다. 피해자들이 수십 년을 싸워 획득한 사법적 권리를 내팽개치고, 일본 전범 기업에 면죄부를 주었다.

 

2018년 대법원 판결의 취지는 명확하다. 조선인을 강제 동원한 일본 기업의 책임이 분명하니 피해자들에게 강제징용 배상금을

지급하라는 것이다. 「국가총동원법」(1938년)에 의거해 제국주의 일본과 전범 기업들은 정책적․조직적․집단적․폭력적․계획적으로

각종 산업현장에 조선의 민중들을 강제로 징용했다. 그들은 달콤한 취업 조건을 미끼로 피해자들을 강제 노동에 끌어들였다.

 

거짓말임을 알고 항의해도 붙잡아 두었다. 그만두겠다고 하면 두들겨 팼고, 도망가면 잡아와 다시 두들겨 팼다. 임금도 제대로 주지 않았다.

비참한 노동에 시달리다가 상한 몸과 빈손으로 해방을 맞이했다. 대법원 판결은 이러한 일본 기업의 전시 범죄에 대한 단죄인 것이다.

그동안 외롭게 법적 투쟁을 해 온 피해 당사자들의 노력은 인류 보편적 정의와 인권은 무엇으로도 소멸시킬 수 없다는 것을

확인받은 쾌거라 할 수 있다.

 

식민 지배자들의 진솔한 사과와 전범 기업에 대한 배상 요구는 정당하다는 대법원 판결을 ‘제3자 변제’ 방식으로 왜곡하여,

개인청구권에 따른 사죄와 배상 의무를 함부로 거역할 권한은 누구도 부여받지 않았다. 윤석열 대통령은 이번 조치를

‘미래를 위한 대승적 결단’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하지만 가해자에겐 면죄부를, 피해자에겐 씻을 수 없는 치욕감을 주는 조치는

대승적 결단이 될 수 없다. ‘강제 징용’을 ‘옛 한반도 출신 노동자 문제’라 왜곡하는 일본과 맺는 ‘건전한 양국 관계’라는 게

도대체 무엇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

이번 한일 정상회담은 일본의 침략역사와 전쟁범죄를 승인하고 노골적인 역사 왜곡의 길을 터주는 항복 외교이자 굴종 외교였다.

국내 기업의 팔을 비틀어 마련한 돈을 피해자 호주머니에 찔러주기만 하면 과거사가 잊혀지고 우호적인 미래가 열릴 것이라는

기대는 순진함을 넘어 아둔함의 극치라 말할 수밖에 없다.

 

침략역사를 왜곡하고 군사 대국화를 포기하지 않는 일본을 보라. 자유무역의 기본 질서를 훼손한 경제 보복 조치, 식민 지배에 대한

변함없는 미화, 일본군‘위안부’ 강제 연행 부정, 독도 영유권 주장,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 등 주변국을 대하는 일본 정부의

태도는 달라진 게 아무것도 없다. 최근 통과된 일본 교과서만 봐도, 독도가 자신들의 고유영토인데 한국이 불법 점령하고 있다고

한다거나 강제 징용을 ‘지원’이라고 표현하는 등 역사왜곡의 강도를 더 높이고 있을 뿐이다. 반성과 사죄는커녕 평화주의를 버리고

‘전쟁 가능 국가’로 탈각하면서 아시아 맹주의 자리를 다시 차지하겠다는 야심을 숨김없이 드러내고 있다.

대통령이 말하듯, 일본이 ‘군국주의 침략자’에서 ‘협력 파트너’가 된 것이 분명한가? 조만간 분쟁과 갈등의 시대는 가고 평화와

협력의 시대가 올 것이 분명한가? 우리는 믿지 않는다.

대통령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담보하고 인간의 존엄성을 옹호할 의무밖에 없다. 억울한 사람의 한을 풀어주고 차별을 줄이며

정의롭고 평등한 사회를 만들 의무밖에는 없다. 역사와 양심의 나침반을 깨버리고 정녕 이 나라를 어디로 향하게 하려고 하는가?

실망과 좌절감으로 분노한 국민들의 한숨소리가 들리지 않는가? 자국민의 심장을 찔러 정녕 무얼 얻으려고 하는가?

 

우리 국민은 윤석열 정부의 굴종적인 강제동원 해법과 비상식적 해명에 속아넘어갈 정도로 우매하지도, 이를 묵과할 정도로

게으르지도 않다. 우리는 강제동원 피해자에 대한 반인권적 조치를 징검다리 삼아 신냉전 체제에 편입하려는 현 정부를

그대로 지켜보지만은 않을 것이다.


윤석열 대통령에게 요구한다.

 -. 사법부에서 인정한 보편적 인권과 피해자들의 권리를 배반하지 말라.

 -. 피해자들이 돈 몇 푼으로 입을 다물 것이라 기대하지 말라.

 -. 아시아의 진정한 평화와 공존을 꿈꾸는 한일 양국의 양심적 시민들의 노력과 역사의식을 무시하지 말라.

 -. 굴욕적 한일회담을 반성하고 기괴한 강제동원 해법을 당장 철회하라.

 
2023. 4. 4.
강제동원 해법 철회를 위한 경희대학교 교수 일동

 강인욱(사학), 고봉준(후마), 고원(후마), 고인환(후마), 고재흥(생명과학), 구만옥(사학), 구철모(호텔관광), 권순대(후마), 권영균(물리), 김경석(중국어), 김광표(응용화학), 김기국(프랑스어), 김기명(비교문화연구소), 김도한(행정), 김석(영문), 김선경(응용물리), 김선일(국제학), 김성일(후마), 김수이(후마), 김수중(철학), 김숭현(디지털콘텐츠), 김승림(작곡), 김양진(국문), 김연숙(후마), 김연정(간호), 김윤철(후마), 김은성(사회), 김은정(시각디자인), 김일현(건축), 김종호(약학), 김준하(주거환경), 김진해(후마), 김태경(일본어), 김태우(한의), 김홍두(정보전자신소재), 김희찬(후마), 노상균(중국어), 문석윤(철학), 문지회(치의), 민관동(중국어), 민유기(사학), 박명주(산업경영공학), 박승민(화학), 박신의(경영대학원), 박윤재(사학), 박정원(스페인어), 박진빈(사학), 박찬욱(중국어), 박현(스포츠의학), 박현귀(후마), 박환희(영문), 배진우(생물), 백남인(한방생명공학), 백수희(후마), 서덕순(국문), 서덕영(전자공학), 서동은(후마), 서보학(법전원), 석소현(간호), 성열관(교육대학원), 손지연(일본어), 송영복(스페인어), 송유레(철학), 송재규(화학), 신기순(생물), 신동면(행정), 신명아(글로벌커뮤니케이션), 신자란(응용영어통번역), 신현숙(간호), 안지연(글로벌한국학), 우정길(교육대학원), 유원준(사학), 유인태(컴퓨터공학), 윤순옥(지리), 이관석(건축), 이명원(후마), 이문재(후마), 이병태(후마), 이상덕(인문학연구원), 이상원(유전생명), 이석근(한의), 이선이(한국어학), 이승곤(관광), 이영준(후마), 이정민(체육), 이정아(체육), 이종혁(미디어), 이주희(국문), 이풍실(철학), 이한규(글로벌커뮤니케이션), 이향숙(한의), 이효인(예술디자인), 임병노(후마), 임형진(후마), 장문석(국문), 장애경(간호), 전중환(후마), 정복철(후마), 정재원(후마), 정지호(사학), 정태호(법전원), 조대희(건축), 조성관(영문), 조정은(사학), 지상현(지리), 진은진(후마), 차충환(국문), 채옥삼(컴퓨터), 천장환(건축), 최경규(치의), 최서희(지리), 최성민(인문학연구원), 최정욱(의류디자인), 최지안(응용영어통번역), 최진무(지리), 홍기준(평화복지대학원), 홍승태(후마), 홍윤기(국제교육원), 황철수(지리), Jason Barker(글로벌커뮤니케이션), 익명 6명 

- 총126명-

댓글 0 보기
수정/삭제시 이용합니다.
 52717112
수정삭제목록보기


번호 제목 작성자 등록일
운영자
2021-10-18
-180
강본두
2023-05-08
-181
Han
2023-05-05
-182
Han
2023-04-28
-183
민들레
2023-04-26
-184
Han
2023-04-21
-185
강본두
2023-04-18
-186
Han
2023-04-14
-187
Han
2023-04-07
-188
Roy
2023-04-06
-189
민권 센터
2023-04-05
-190
민권 센터
2023-04-01
-191
민족학교
2023-03-29
-192
Han
2023-03-24
-193
민들레
2023-03-20
-194
민권 센터
2023-03-17
-195
Han
2023-03-17
-196
Han
2023-03-10
-197
민권 센터
2023-03-07
-198
민권 센터
2023-03-06
-199
시애틀 한인회
2023-03-03
-200
Han
2023-03-03
-201
[1]
기본 소득당
2023-03-01
-202
민권 센터
2023-02-28
-203
민들레
2023-02-24
-204
Han
2023-02-24